독서

[조선일보Books]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네다 2008. 8. 4. 23:54
728x90

조선일보Books | 연합뉴스
부활하는 만주의 기억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출간
한석정.노기식 엮음. 380쪽. 2만원.

 

만주는 삼국시대 이래로 국가간에 치열한 투쟁이 벌어진 곳이다. 고구려와 수.당의 충돌, 발해와 당의 대립을 비롯해 거란, 여진 등 여러 민족의 흥망성쇠가 잇따랐다.

하지만 동서양 학계는 오랫동안 만주를 별로 주목하지 않았었다. 한국, 중국, 일본사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던 동아시아의 변방이었기 때문이다.

최근 출간된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소명출판 펴냄)은 이런 만주의 역사를 조명한 책이다. 특히 만주 역사를 중국사 안에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학자들의 만주에 대한 논의를 담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윤휘탁 한경대 교수는 ’동북공정이란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중국이 내세우는 동북공정의 목적과 그 논리의 허실을 짚는다.

윤 교수는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중국역사교과서에서는 고구려사를 신라.백제와 함께 ’삼국’으로 묶었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고구려사=한국사’ 논리를 ’고구려사=중국사’의 논리로 바꾸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그는 “나날이 증가하는 북한 탈북자문제가 자칫 동북지구의 ’국제난민’ 문제로 확산되거나 이 지역이 ’한민족의 근거지’로 인식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중국 학계가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윤 교수는 또 책봉(冊封)이나 조공(朝貢) 관계를 근거로 고구려나 발해를 중국왕조에 예속된 지방정권이었다는 중국측 주장과 관련, 그런 기준이라면 “백제, 신라, 일본, 베트남도 모두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비판한다.

신주백 국민대 연구교수는 ’분단과 만주의 기억’을 통해 한국사 교과서 속에서 근대의 만주가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가를 추적한다.

신 교수는 “해방 후 전혀 주목받지 못했던 만주의 역사는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를 계기로 민족의 국난 극복의 역사가 강조되면서 교과서에 실리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특히 “1973년 제3차 교육과정기부터 역사교과서 발행이 국정제로 변하고, 국사과목이 사회과에서 분리하면서 본격적으로 간도의 역사와 영토문제가 다뤄지기 시작했다”고 소개한다.

장세윤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중국 조선족의 현황’이라는 글에서 개혁.개방 후 동북3성 조선족의 인구변동을 분석하면서 이농현상 및 출산율 저하로 1980년대 전체의 40.3%에 달했던 옌볜 조선족 인구가 2000년대 초반 37%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한다.

임성모 연세대 교수는 일본 ’대동아공영권’의 중심이었던 만주국과 미 군정에 의해 구축된 오키나와는 소련과 중국에 대한 반공의 ’거점 기지’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밖에 박선영 포항공대 교수는 간도문제의 시대적 변화상을 추적하면서 청조가 국경을 확대하기 시작한 17-19세기부터 간도에 대한 조선의 입지가 축소되기 시작, 20세기에는 아예 조선의 목소리가 배제된 채 일본과 청의 문제로 대두됐다고 강조하는 등 이 책에는 모두 18편의 논문이 담겨있다.